X-Internet과 AJAX

IT 트랜드 검색은 주로 구글(www.google.co.kr)에서 한다. 이전에는 "X-Internet" 키워드를 검색하면 Forrester Research 라는 X-Internet 개념을 세상에 알린 사이트만 주로 검색 되었다. 그러나 지금은 나름대로 많은 사이트가 검색된다. 그러나 대부분의 검색 사이트는 국내인 점을 확인할 수 있다. 왜 그럴까?

AJAX의 진화와 X-Internet AJAX라 함은 단순히 XMLHttpRequest Object를 이용하여 비동기적으로 서버와 XML 형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순한 기술로 국한시키지 않는다. 이제 AJAX는 크로스 브라우저를 지향하며 AJAX-Widgets 라는 큰 흐름으로 진화하고 있다.

AJAX 큰 흐름과 X-Internet은 과연 어떤 관계가 있는걸까? 아이러니하게도 이 둘 간은 서로 상반된 주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. 다음을 보라. 1) 데스크 탑 응용프로그램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vs AJAX Widgets 2) 스마트 런타임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일괄적 UI 제공 vs Cross Browser 3) 네트워크의 효율적 사용 vs XML

AJAX은 X-Internet 인가? 대답은 NO 이다!!!
그럼 Web 2.0은 X-Internet인가? 그 대답 역시 NO가 아닐까?


Why?
그 이유는 간단하다. 결국 X-Internet이 추구하는 것인 C/S의 장점과 웹의 장점을 포함한다고 하지만, 웹에 그 포인트가 맞추어져 있다기 보다 C/S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다. 그러다 보니 C/S와 같이 스마트 웹 클라이언트가 필요하고, 이를 통해 데스크 탑 응용프로그램과 같은 UI를 제공하면서, 각 벤더마다 정의한 포맷을 통신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. 그 옛날 VB와 파워빌더를 생각나게 한다.

그래도 닮은 점이 있지 않을까? 당연히 있다. 그것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법이다. 데이터 처리의 기본 포맷을 XML 을 사용한다든지, 비동기적 통신을 가능케 한다든지, 멀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단든지....

그러나 이러한 점이 같다 하여, AJAX가 X-Internet이 될 수 는 없을 것이다.

댓글 없음: